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하단푸터 바로가기

HOME  >  总医院  >  媒体中心
건강365. 반월상 연골판 손상 주의
2016-02-25

 

 

 

 부산본병원 제 2 정형외과  손상동 원장

 

Q. 반월상 연골판은 무릎 관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데요. 겨울철에 이 연골판을 다치기 쉬워서조심해야합니다.

A. 반월상연골판은 관절의 안쪽과 바깥쪽에 위치해 있으면서 무릎의 중간뼈 사이에 들어있는 물렁한 조직으로 관절의

연골을 보호하고 무릎 관절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외부의 충격을 받거나 무리한 사용을 하거나 

퇴행성 변화에 의해서 이 부위가 손상을 받는데 이를 반월상연골판 파열이라고 합니다. 겨울철에는 추위로 몸이 잔뜩 

위축된 상태가 되는데 근육과 관절이 뻣뻣해져 있는 상태에서 스키나 다양한 스포츠 활동을 급하게 하다보면 쉽게 손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비교적 흔한 질환이며 엑스레이상으로 특별한 이상 없이 무릎이 자주 붓고 계단을 오르내리기가 힘들고 

쪼그려 앉기도 힘들 때 반월상연골판 파열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증상을 그대로 두면 퇴행성 관절염으로 악화될 수 있습니다.

 

손상 부위가 점점 넓어지면서 무릎이 받는 충격이 그대로 뼈에 전달되는 것인데요. 치료 시기를 놓치지 말아야 합니다.

 

반월상연골판 손상은 20~40대 사이에 흔하고 남자에서 3배 정도 많이 발생하는데요. 반월상연골이 파열되면 무릎을 

구부리거나 똑바로 걸을 때 통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또 무릎이 자주 부을 수 있고 일상생활에서 통증이나 시큰거림, 

다리를 저는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시간이 지나면 고통이 줄어서 손상의 심각성을 느끼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심하지 않은 경우 모르고 지나칠 수도 있는데요. 하지만 이로 인해 반월상연골 자체에 흡수되는 충격 완충 작용이

없어서 관절 접촉면의 감소로 관절 연골에 스트레스가 집중되면 관절의 안정성에도 영향을 미쳐서 조기에 퇴행성 관절염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무릎이 붓고 물이 차는 증상이 있을 때에는 안정을 취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통증이 심하고 무릎이 펴지지 않는다면 수술을 

생각해볼 수 있는데요. 반월상연골판 치료는 파열의 정도와 위치, 그리고 범위 환자의 증상 정도, 특징, 지속 시간, 이전 

치료의 유무, 경과 등에 따라 결정해야 하는데요. 상황에 따라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눌 수 있습니다.

 

수술적 치료는 관절 내시경을 통해 모니터를 보면서 하게 되는데요. 관절 내시경 치료는 절개 부위가 작아서 수술 시간이 

단축되고 수술 후 통증이 적고 수술 흔적이나 합병증이 적은 장점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치료법으로는 연골판 부분 절제술이나 

연골판봉합술, 연골판 이식술 등이 있습니다.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것은 예방인데요. 반월상연골판 손상은 무릎을 구부린 

상태에서 갑자기 회전 운동을 하면서 발생되기 때문에 운동을 하기 전 준비운동을 충분히 하고 무릎에 부담이 되는 자세나 운동은 주의해야합니다. 

 

허벅지 앞쪽 근육을 튼튼하게 하면 부상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준비운동을 생활화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건강365였습니다.